현지연락처
대사관 연락처
ㅇ 주소 : SQ4, Do Nhuan, Khu Ngaoi Giao Doan, Xuan Tao, Bac Tu Liem, Hanoi, Vietnam
ㅇ 대표번호(근무시간 중) : (84) 24-3771-0404
ㅇ 긴급연락처(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, 24시간) : (84) 90-402-6126
ㅇ E-mail :
korembviet@mofa.go.kr
호치민총영사관 연락처
ㅇ 주소 : 107 Nguyen Du St., Dist 1, Ho Chi Minh city, VietNam
ㅇ 대표번호(근무시간 중) : (84) 28-3822-5757
ㅇ 긴급연락처(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, 24시간) : (84) 93-850-0238
ㅇ E-mail :
hcm02@mofa.go.kr
다낭총영사관 연락처
ㅇ 주소 : Tang 3-4, Lo A1-2 Chuong Duong, P.Khue My, Q.Ngu Hanh Son, T.P Da Nang, Vietnam
ㅇ 대표번호(근무시간 중) : (84) 23-6356-6100
ㅇ 긴급연락처(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, 24시간) : (84) 93-112-0404
ㅇ E-mail :
danang@mofa.go.kr
주재국 신고
ㅇ 범죄신고 : 113
ㅇ 화재신고 : 114
ㅇ 응급환자(앰뷸런스) : 115
※ 해당 긴급전화는 대부분 베트남어로만 가능하며, 구급차 이용 요금을 지불해야 할 수 있습니다.
현지여행정보
ㅇ 국명 :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(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)
ㅇ 수도 : 하노이
ㅇ 위치 : 인도차이나 반도 중부에 위치하며, 중국, 라오스, 캄보디아와 접경
ㅇ 면적 : 33만 341평방 킬로미터(한반도의 약 1.5배)
ㅇ 기후 : 북부는 아열대성, 남부는 열대몬순(연평균 기온 24.1도, 습도 월평균 83%, 연평균 강우량은 한국의 약 2.4배)
ㅇ 민족 : 베트남족 89%, 기타 53개 소수민족, 화교 약 100만 명 -> 베트남족 87% 기타 54개 소수민족. 화교 약 100만 명
ㅇ 언어 : 베트남어 (공용어)
ㅇ 베트남 동 (VND, 1달러 약 23,000 VND 내외)
일반 문화
[베트남 인사 이름 부르기]
ㅇ 직함과 함께 부를 때는 <직함 + full name : President Vo Van Thuong> 와 같아 부르도록 합니다.
[이름 표기 방식]
ㅇ 우리와 같이 성과 이름 삼 음절로 성-중간 이름-끝 이름으로 구성되는데 한국과 달리 끝 이름만으로 부릅니다.
ㅇ 베트남 이름의 경우 가운데 이름만으로 성별을 알 수 있는데, Van(반)은 남자 이름에, Thi(티)는 여자 이름에 보통 사용합니다.
[오만찬시]
ㅇ 베트남 초청자 측이 오만찬을 대접할 경우 반드시 감사의 표시로 답방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ㅇ 주최 측의 건배 제의를 시작으로 상호 건배를 제안합니다.
ㅇ 주최 측이 건배를 제의할 때는 최고 선임자나 연장자를 보고 일어나서 양손으로 술잔을 들며 간단한 덕담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
ㅇ 헤어질 때는 모든 베트남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감사를 표시하도록 합니다.
[종교 관련]
ㅇ 베트남도 법령에 따라 종교의 자유 및 종교 전파의 자유를 인정하나, 여전히 베트남 사회에서 누구에게나 자신의 종교 또는 종교적 확신을 알리고 선전하는 전파의 자유는 민감하고 조심스러운 부분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니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.
[국민성]
ㅇ 베트남은 오랜 세월 동안 끊임없는 외침을 모두 물리친 국민으로 자신들을 표현하며, 중국․프랑스․미국 등 강대국에 굴하지 않은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편입니다.
[음식문화]
ㅇ 베트남의 식습관은 공동생활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음. 여러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큰 그릇에 담아 식탁위에 놓고 함께 먹습니다.
ㅇ 식사 후 따뜻한 차를 마시는 문화가 발달되어 있습니다.
ㅇ 뜨거운 날씨로 다양한 음료문화가 발달하여 시내 곳곳에는 천막 카페부터 고급카페까지 카페의 종류가 다양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ㅇ 음식과 함께 술을 곁들여 마시는 편이며 1:1로 건배를 하고 잔을 비우고 악수를 하는 것이 예의입니다.
ㅇ 1:1로 건배를 할 시 우리나라의 위하여와 같은 “쭉 슥 쾌, (건강을 위하여라는 의미)” 또는 “못 하이 바 요 (하나 둘 셋 건배라는 의미)”등의 건배 구호가 있습니다.
기타
[한국과의 시차]
ㅇ 시차 : 한국보다 2시간 늦음 (예 : 한국 09시 일 때 베트남은 07시)
[전기 규격]
ㅇ 전기 규격은 유럽 표준과 같은 220V, 50Hz이며 콘센트 규격은 다양하나, 대개의 경우 한국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가 많습니다.
ㅇ 국내와 주파수가 다르므로 우리나라(220V, 60Hz)주파수에 민감한 전자제품 및 국내 전용모델은 베트남에서 성능저하 또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ㅇ 휴대전화, 전기면도기 등은 본래 50/60 HZ 겸용이 많으므로 베트남에서 사용 시 문제가 없습니다.
[환전 및 결제 관행]
ㅇ 100VND=5원 수준으로 100,000 VND는 우리 돈 약 5,000원에 상응합니다.
ㅇ 동전을 사용하지 않으며 최고액권은 500,000 VND(약 25,000원)이며 최저액권은 500VND(약 25원)이나 잘 사용되지 않아 1000VND 이하는 버림 또는 반올림 하여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ㅇ 신용카드 보급률이 떨어지고 혜택도 적은 편으로 여전히 다수의 사람들이 현금거래를 선호하여 외출 시 항상 일정한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.
ㅇ 한편 베트남도 전자상거래가 발달하는 추세이며, 한국과 유사한 배달, 택배 문화가 있습니다.
ㅇ 택배 등 거래 시 선 결제하는 우리와 달리, 판매자 또는 배달원에게 직접 결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.
[통신]
ㅇ 복수의 휴대전화 회사가 LTE, 4G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ㅇ 다만 일부 장소에서 감도 저하, 통화품질 저하, 등이 다수 발생할 수 있고 국제전화 시에도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.
ㅇ 우리나라와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메신저 앱을 통한 통신을 사용하나, 일부 사용자는 문자와 전화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